이 데이터 세트는 2018년의 30m 해상도 중국 계단식 논 지도입니다. 이 모델은 Google Earth Engine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중 소스 및 다중 시간 데이터를 사용하여 감독된 픽셀 기반 분류를 통해 개발되었습니다. 전체 정확도와 카파 계수는 각각 94% 와 0.72를 달성했습니다. 이 첫 번째 …
이 데이터 세트에는 1985년부터 2018년까지의 전 세계 불투수면적의 연간 변화 정보가 30m 해상도로 포함되어 있습니다. 이전에서 불투과성으로의 변경은 감독 분류와 시간적 일관성 검사의 결합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결정되었습니다. 불투수성 픽셀은 불투수성이 50% 이상인 것으로 정의됩니다. …
[[["이해하기 쉬움","easyToUnderstand","thumb-up"],["문제가 해결됨","solvedMyProblem","thumb-up"],["기타","otherUp","thumb-up"]],[["필요한 정보가 없음","missingTheInformationINeed","thumb-down"],["너무 복잡함/단계 수가 너무 많음","tooComplicatedTooManySteps","thumb-down"],["오래됨","outOfDate","thumb-down"],["번역 문제","translationIssue","thumb-down"],["샘플/코드 문제","samplesCodeIssue","thumb-down"],["기타","otherDown","thumb-down"]],[],[],["Two datasets are described: a 2018 China terrace map at 30m resolution, created via supervised pixel-based classification using multisource and multi-temporal data. The method had an overall accuracy of 94% and a kappa coefficient of 0.72. The second dataset provides annual changes in global impervious surface area, from 1985 to 2018 at 30m resolution. This was done by a combination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temporal consistency checking. Impervious pixels are above 50% impervious.\n"]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