좌석 내 환승이라고도 하는 블록 환승은 일련의 여정이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.
- 여정이 이어집니다.
- 두 여정이 모두 같은 차량으로 운행됩니다.
- 여정이 대중교통 피드의 trips.txt파일에 있는 동일한block_id값으로 프로비저닝됩니다.
사전 준비 사항
Google 지도에서 여정 간에 블록 환승을 인식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.
- 해당 여정이 trips.txt에서 동일한block_id값을 사용해야 합니다. 이는 여정에 동일한 차량이 이용된다는 것을 뜻합니다.
- 여정이 동일한 날에 이루어져야 하며, 자정을 지나 계속되는 경우 두 날이 이어져야 합니다.
- 여정이 이어져야 하며 중복되지 않아야 합니다.
- 도착 여정의 마지막 정류장과 출발 여정의 첫 번째 정류장이 같거나(권장됨) 물리적으로 가까워야 합니다.
block_id를 사용하여 블록 환승 사용 설정
이어지는 여정 간에 다른 경로에 대해, 또는 경로가 순환선인 경우 동일한 경로에 대해 블록 환승을
적용할 수 있습니다. 한 블록에 있는 여정 및 좌석 내 환승이 이용 가능한 옵션인 경우를 지정하려면 block_id 필드를 사용하세요.
예 1: 예정된 여정을 위한 블록 환승
이 예에서는 각 파일에서 다음 값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.
trips.txt
| route_id | trip_id | block_id | 
|---|---|---|
| RouteA | RouteATrip1 | Block1 | 
| RouteB | RouteBTrip1 | Block1 | 
stop_times.txt
| trip_id | arrival_time | departure_time | stop_id | stop_sequence | 
|---|---|---|---|---|
| RouteATrip1 | 12:00:00 | 12:01:00 | A | 1 | 
| RouteATrip1 | 12:05:00 | 12:06:00 | B | 2 | 
| RouteATrip1 | 12:15:00 | C | 3 | |
| RouteBTrip1 | 12:18:00 | C | 1 | |
| RouteBTrip1 | 12:22:00 | 12:23:00 | D | 2 | 
| RouteBTrip1 | 12:30:00 | E | 3 | 
이 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.
- 정류장 A에서 정류장 E까지의 경로를 검색하는 사용자에게, 경로 A에 따라 12:00에 정류장 A에서
탑승한 다음 차량이 정류장 C에 도착하여 RouteATrip1이 끝난 뒤에도 차량에서 내리지 말라는 안내가 제공됩니다. 이는 경로 B에 대해 동일한 차량을 사용하는RouteBTrip1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.
- RouteATrip1이 끝난 뒤- RouteBTrip1에서 안내하는 정류장까지 계속 이동하고 싶은 승객은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머무르면 이 환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동일한 경로를 따르지만 다른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승객이 있는 경우, 각 여정에 서로 다른 차량을 사용하므로 이 승객에게는 해당 환승 옵션이 제공되지 않습니다.
예 2: 시간이 정확한 빈도 기반 여정을 위한 블록 환승
블록 환승은 사전 준비 사항 섹션에 나열된 요건에 더해 다음 조건 중 한 개를 충족하는 빈도 기반 여정에만 지원됩니다.
- 순환 여정인 경우, 동일한 정류장에서 시작해서 끝나야 합니다.
- frequencies.txt에서,- exact_times필드의 값은- 1이어야 합니다.
다음 예는 두 번째 조건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.
trips.txt
| route_id | trip_id | block_id | 
|---|---|---|
| route1 | route1_trip1 | block_2 | 
| route2 | route2_trip1 | block_2 | 
stop_times.txt
| trip_id | arrival_time | departure_time | stop_id | stop_sequence | 
|---|---|---|---|---|
| route1_trip1 | 08:00:00 | 08:04:00 | stop1 | 1 | 
| route1_trip1 | 08:10:00 | 08:14:00 | stop2 | 2 | 
| route1_trip1 | 08:20:00 | stop3 | 3 | |
| route2_trip1 | 08:24:00 | stop3 | 1 | |
| route2_trip1 | 08:30:00 | 08:34:00 | stop4 | 2 | 
| route2_trip1 | 08:40:00 | 08:44:00 | stop5 | 3 | 
frequencies.txt
| trip_id | start_time | end_time | headway_secs | exact_times | 
|---|---|---|---|---|
| route1_trip1 | 08:00:00 | 08:20:00 | 600 | 1 | 
| route2_trip1 | 08:24:00 | 08:44:00 | 600 | 1 | 
이 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.
- stop1에서- stop5까지의 경로를 검색하는 사용자에게- route1에 오전 8시에- stop1에서 탑승하라는 안내가 제공됩니다. 사용자는 그러면- stop3에 도착하여- route1_trip1이 끝난 뒤에도 차량에 머무릅니다. 이는 경로- route2에 대해 동일한 차량을 사용하는- route2_trip1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.
- route1_trip1이 끝난 뒤- route2_trip1에서 안내하는 정류장까지 계속 이동하고 싶은 승객은 차량에서 내리지 않고 머무르면 이 환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동일한 경로를 따르지만 다른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승객이 있는 경우, 각 여정에 서로 다른 차량을 사용하므로 이 승객에게는 해당 환승 옵션이 제공되지 않습니다.
- 예를 들어 route1_trip1을 봅시다.headway_secs의 값은start_time과end_time간 인터벌의 절반입니다.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여정이 있다는 의미입니다.headway_secs의 사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, gtfs.org에서 GTFS 일정 참조를 참고하세요.
순환선에서의 블록 환승
순환선에서는 여정을 시작하는 정류장과 여정의 마지막 정류장이 같은 정류장이며
stop_id도 동일합니다. 일정 기반 및 빈도 기반 여정 모두에 필요합니다.
Please see the above. 
이어지는 순환 여정이 동일한 block_id를 사용하는 경우 블록(좌석 내) 환승이 활성화되며,
이 옵션을 통해 첫 번째 여정을 마친 승객이 다음 순환으로 이어지는 차량에 머무를 수 있습니다.
GTFS 피드에서의 유효한 블록
블록 환승을 사용하려면 피드에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제대로 정의해야
합니다. 유효성 검사에 통과하려면 동일한 블록에 속한 여정이 중복되지 않으며 route_type(지하철, 철도, 버스 등)이 동일해야 합니다.
여정은 날짜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블록에 속할 수 있습니다. 정적
피드에 블록이 정의되어 있는 경우 개요 탭의
유효성 검사 보고서에
블록이 표시됩니다.